본문 바로가기
주식 분석

클리노믹스 - 사업 내용 및 투자위험요소

by 공부개미84 2020. 11. 26.
반응형

 

 

 

 

 

 

 

 

 

 클리노믹스는 기술성장 특례 적용 기업으로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럼 곧 신규 상장하는 클리노믹스의 주요 사업 내용 및 투자 위험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클리노믹스는 유전체 진단검사와 액체생검의 2개의 사업영역에서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 유전체 분석(게놈기반 헬스케어, NGS 분석 서비스), 다중오믹스 기반의 조기진단, 액체생검 플랫폼, 암 진단/모니터링이 있으며 그 외 기타 사업(바이오 빅데이터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기반의 신체 특성이나 질병을 예측하는 유전체 검사 서비스 'Geno-Series'를 출시하였습니다. 'Geno-P', 'Geno-D' 등 6가지 제품에 대해 서비스를 시행 중에 있으며, 생체나이 측정, 영양진단, 아동 및 청소년 제품을 개발 완료하여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2. 국내 및 세계 시장 전망

 

 

 

 

 

 

1) 국내 시장

 

 

클리노믹스는 오송에 바이오빅데이터센터(BBC)를 설립하여 향후 유전체 정보를 비롯한 각종 의료정보, 개인정보 등을 종합화한 바이오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에게 헬스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사업화할 계획에 있습니다.

 

 

●SCI급 주요 연구자 발행 논문 52건, 백억 원 이상의 정부과제 수행 24건 등 핵심기술 연구 및 상용화 개발을 통해 지속적 성장 중에 있습니다.

 

 

 

 

 

2) 세계 시장

 

 

●글로벌 과학자문의원으로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George MCDonald Church' 및 USCD 대학 교수 'Prashant Gulab Ram Mali'를 두고 있으며, 존스홉킨스 대학과 공동 임상연구 진행, 세계 전문기관(UCSD 암센터, 헝가리 암센터 등)과의 협력관계에 있습니다.

 

 

 

●게놈기반 헬스케어, 스트레스/우울증 예측, 암 조기 진단, 액채생검 플랫폼, 동반진단의 시장 규모는 약 200조로, 다중오믹스와 액체생검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계획입니다.

 

 

 

 

 


 

 

 

 

 

3. 투자 위험 요소

 

 

 

 

 

 

1) 정부 정책 또는 규제 변화

 

 

 클리노믹스가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게놈기반의 유전체 진단 사업 및 정밀의료 관련 사업은 국가 기관에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규제 산업으로, 향후 정부의 의료정책 및 규제 개선 계획이 변경되면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유전체 분석 산업 관련 위험

 

 

 유전체 분석 산업은 21세기 경제 성장을 주도할 핵심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글로벌 유전자 검사 시장은 2017년부터 연평균 10.6%의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시장의 경우 정부 규제로 인해 검사 대상 유전자 종류를 제한받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으로, 규제가 강화되거나 영업환경 및 경쟁환경이 변화하게 되면 향후 경영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유전체 분석사업 경쟁 심화

 

 

 2003년 인간 게놈지도의 완전 해독 결과 발표 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전체 산업 관련 기업들이 탄생하였고, 국내 역시 다양한 기업들이 경쟁 중에 있습니다. 현재 유전자 분석 전체 시장에서 클리노믹스의 시장 점유율은 낮은 편이고, 국내/외 정부 규제 등이 지속됨에 따라 성장 억제가 장기화되어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데 비해 신규업체의 지속적인 진입으로 시장 경쟁이 보다 치열해질 수 있습니다.

 

 

 

 

 

 

 

 

 

 

 

 

 

출처 l 전자공시시스템(DAR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