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일 티앤엘이 곧 코스닥 시장에 상장됩니다. 티앤엘의 주요 사업과 회사에서 밝힌 투자위험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사업내용
티앤엘은 창상치료재와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주요 제품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창상치료재는 상처를 보호하거나 오염을 방지하고 삼출액의 흡수, 출혈 또는 체액의 손실 등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기기이고,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외상 고정장치, 척추 장치, 부속품, 브레이스 및 관절 경의 장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주로 골절의 치료 및 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의료기기입니다.
또한 국내를 비롯하여 아시아 전역, 미국, 유럽 등 전 세계 모든 유형의 창상치료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당뇨성 족부궤양, 욕창, 화상, 미용성형 수술이 있습니다. 당뇨성 족부궤양이나 욕창의 경우 인구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자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된 치료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우리나라의 미용 성형 건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15%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세계적으로 미용성형 총 수술 건수는 미국, 브라질,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는 4위를 차지할 정도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세계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창상치료재는 작은 상처부터 궤양, 화상 등에 쓰일 수 있는 메디칼 섬유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상처치료재 보다 재생효과가 높고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전 세계적으로 슈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과거 3년간 약 3.8%의 평균 성장률을 보였고, 향후 2025년까지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이유로는 인구 고령화로 인한 당뇨, 욕창 등의 발병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투자위험요소
1) 시장 경쟁이 심화됨에 따른 위험요소
첨단 상처치료 관련 사업은 우리나라 보단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의 규모가 훨씬 큽니다. 따라서 외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국내에 제네웰, 원바이오젠과 같은 경쟁사가 존재하여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시장 규모가 작다는 위험요소
창상치료재 시장은 인구 고령화등의 이유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세계 시장에 비하면 국내 시장은 약 1.5%에 불과한 매우 작은 규모입니다. 만약 여러 이유들로 수출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시장이 더욱더 축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신규사업이 실패할 수 있다는 위험요소
티앤엘은 기존 사업뿐만 아니라 추가 성장 동력을 위해 스마트 패치, 지혈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신규 사업 진행에 차질이 생길 경우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특허권 등 지적 재작권 현황
출처 l 전자공시시스템(DART)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기술 상장일, 공모가, 보호예수물량, 최근실적 (0) | 2020.11.16 |
---|---|
RCEP 관련주 , 수혜주 예상 및 정리 (0) | 2020.11.16 |
2020년 12월 신규 상장주, 청약일 정리 (0) | 2020.11.15 |
티앤엘 상장일, 공모가, 보호예수물량, 최근실적 (0) | 2020.11.15 |
고바이오랩 -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 임상 현황 (0) | 2020.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