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캐스틱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는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고가-저가 범위 내에서 현재 주가가 어느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Stochastics Fast와 Stochastics Slow입니다. HTS나 MTS에서 스토캐스틱 지표를 추가하면 % K선과 % D선이 나오는데요. 간단히 설명드리면 % K선은 일정 기간 내의 주가 최고치와 최저치를 바탕으로 현재 주가의 위치를 알려주는 선입니다. 0~100의 숫자로 나타나며, 50이 평균값입니다. 만약 현재 % K선의 값이 30이라면 최근 주가의 평균치인 50보다 낮기 때문에 현재 주가는 저렴한 상태로 판단하여 매수를 고려하고, 반대로 % K선의 값이 70이라면 최근 주가의 평균치인 50보다 높기 때문에 현재 주가는 비싼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D선은 % 선의 이동평균선이기 때문에 골드크로스나 데드크로스 같은 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지표에는 2가지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스토캐스틱 Fast는 자잘한 파동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골든크로스나 데드크로스가 너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잘한 신호가 너무 많아지면 매매에 활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리반적으로 스토캐스틱 Fast는 사용하지 않고 스토캐스틱 Slow를 사용합니다.
NH투자증권 나무HTS에서 처음 스토캐스틱을 추가하면 기본값이 5, 3, 3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키움은 12, 5, 5) 각각 Fast% K 기간, Slow% K기간, Slow% D 기간입니다. 보통 12, 5, 5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NH투자증권을 쓰시는 분들은 수치를 바꿔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간혹 더 세밀한 신호를 받고 싶어 5, 3, 3이라는 수치를 그대로 쓰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조금씩 사용해 보며 자신에게 맞는 신호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 매매기법
스토캐스틱 지표를 토대로 과매수 구간과 과매도 구간을 파악하고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기본적인 매매기법입니다. 스토캐스틱은 0~100 사이의 숫자로 나타나며, 50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치입니다. 때문에 스토캐스틱이 50 이하로 내려가면 현재 주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태인 것이고, 50 이상으로 올라가면 현재 주가는 상대적으로 비싼 상태인 것이죠. 보통 이 수치가 20 이하로 내려가면 과매도 구간, 80 이상으로 올라가면 과매수 구간으로 보는데요. 조금 더 타이트하게 보는 분들은 30과 70으로 기준을 잡기도 합니다. 스토캐스틱 지표가 현재 과매수 구간을 알리고 있다면 매도를 생각하거나 추가매수를 자제하고, 반대로 스토캐스틱 지표가 현재 과매도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면 매수를 생각하거나 추가적인 손절을 자제하는 등의 전략이 유효합니다.
모든 보조지표가 그렇듯 언제나 맞아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요. 위의 삼성전자의 차트를 보면, 스토캐스틱이 20 이하로 내려갔을 때의 주가는 대체적으로 저렴한 편이었습니다. 저 구간에서는 저점 매수가 들어오며 단기적인 상승을 노린 전략이 유효합니다. 혹은 손절하기 전 반등을 기다렸다가 손해를 줄이거나 물타기를 하는 전략도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를 포함한 보조지표를 더욱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거 차트까지 보는 것이 좋은데요. 특히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일수록 주가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고, 기업 가치가 단단하기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저점 매수세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차트의 경우, 스토캐스틱이 1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반등이 올 확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이처럼 세부적으로 통계를 내서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 K선과 % D선의 교차 신호를 활용하는 매매기법도 있습니다. 특히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에서 발생하는 교차신호는 매우 강력한 매도, 매수 신호인데요. 과매도 구간에서 교차 신호가 발생했다는 것은 주가의 하락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기술적 반등을 노린 매수가 유효한 자리이고, 반대로 과매수 구간에서의 교차 신호는 주가의 상승폭이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뜻이기 때문에 하락 추세 전환을 예측한 매도가 유효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