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02일 앱코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될 예정입니다. 앱코의 사업 내용 및 회사에서 밝히 투자위험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앱코는 PC게임 산업에서 게이밍 기어(게이밍 키보드, 헤드셋, 마우스 등)를 제조 및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1위 게이밍 기어 전문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글로벌 18개국에서 앱코의 브랜드를 판매, 2019년부터는 'AMAZON'을 통하여 북미시장에 제품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형가전, 음향기기 분야에도 진출하여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확보, 현재 해당 사업은 안정적인 수익은 창출하고 있습니다.
앱코는 스마트 스쿨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 단말 도입사업(1~5차)의 단말기 충전함을 전량 수주받았습니다.
2. 국내 및 세계 시장 전망
1) 국내 시장
2013년 게이밍 기어 사업 진출 이후 키보드, 헤드셋, 마우스, PC 케이스 부문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게이밍 키보드는 쿠팡 판매 순위 1~10위를 전부 차지하였고, 게이밍 헤드셋의 경우 1, 2, 3, 4, 6, 8, 9, 10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2) 세계 시장
앱코는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등 세계적인 게임과 합작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2020년 11월 현재 150개 이상 국가에서 서비스 중인 '검은 사막' IP를 활용하여 다양한 게이밍 기어 및 디지털 주변기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2019년 11월에는 미국 AMAZON에서 판매를 시작했고, 2020년 4월부터 판매량 증가로 손익분기점(BEP)을 넘겼습니다. 또한 해외 매출 확대를 위해 3단계 전략을 구상(품목 확대 > 지역 확대 > 채널 확대)하고 있습니다.
3. 투자 위험 요소
1) 게이밍 기어 시장의 성장 지체
앱코의 매출액 중 게이밍 기어 사업부의 비중은 74.79%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PC게임 산업은 E스포츠 시장의 성장과 함께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모바일 게임 시장의 PC게임 침투 가속화, PC게임에서의 히트작의 부재, PC방에 대한 정부 규제 강화 등 외부적이니 요인으로 인해 게이밍 기어 제품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습니다.
2) 소비자 불만사항 대응 관련
앱코는 김포물류센터 내에 별도의 A/S센터를 구축하여 상담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판매된 제품에 대해 12개월 이내 무상 보증과 1개월 이내 반품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만약 제품의 결함 및 리콜 등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회사의 평판 및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해외 시장 진출 부진 가능성
앱코는 국내 게이밍 기어 1위의 지위를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업체와의 계약 지연, 해외 시장 브랜드 등록 지연, 해외 시장 내 브랜드 인지도 확대 실패 등 해외 시장 진출이 부진할 경우, 해외사업부의 영업적자가 지속되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l 전자공시시스템(DART)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에프씨 상장일, 공모가, 공모청약일, 보호예수물량, 최근실적 (0) | 2020.11.23 |
---|---|
HMM - 전환사채 발행, 전환 청구 기간은? (0) | 2020.11.22 |
앱코 상장일, 공모가, 공모청약일, 보호예수물량, 최근실적 (0) | 2020.11.22 |
제일전기공업 - 사업 내용 및 투자위험요소 (0) | 2020.11.22 |
비보존 헬스케어 (루미마이크로) 간단 분석 (0) | 2020.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