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분석

인바이오 - 사업내용, 시장전망, 투자위험요소

by 공부개미84 2020. 12. 6.
반응형

 

 

 

 

 

 

 

 12월 11일 신규 상장하는 인바이오의 사업내용 및 국내외 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회사에서 밝힌 투자위험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도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인바이오는 화학 농약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인바이오는 글로벌 독점을 가지지 않는 원제를 중국, 인도 등의 제네릭 원제 제조업체로부터 수입하여 개발 및 등록합니다. 따라서 경쟁회사보다 자유롭고 빠르게 합제를 사업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장 중인 바이오 식물활성제(교미교란제/노린제루어/아미노산제) 제품을 기술 개발하여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에 대한 매출 50억 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 전망

 

 

 

 

 

 

 

1)국내시장

 

 

 

 

○제네릭 작물보호제 시장은 2015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3.5%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바이오는 최근 10년간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로 매출이 지속 성장 중에 있습니다.

 

 

○다양한 원제 배합으로 단제 대비 우월한 가성비 제품을 개발하여 동시 Multi 시장 공략 중에 있습니다.

 

 

○원가 우위를 기반으로 경쟁사 대비 고수익성을 실현하고 있으며, 원제 국산화를 위한 살균제용 신물질 연구 개발 과제(산업통상자원부)를 수행 중입니다.

 

 

○국내 유일 친환경 기술 인증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해외 시장

 

 

 

 

○현재 중국, 파키스탄, 캄보디아 등 여러 국가들을 대상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2021년까지 27개 제품을 추가 등록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3. 투자 위험 요소

 

 

 

 

 

 

 

1) 관련 법규 및 규제 위험

 

 작물보호제(농약) 산업의 경우, 식량 수급 및 농가소득의 안정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보호 및 생활환경의 보존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생산량, 생산방법, 판매 가격 등에서 농약관리법 등 관련 법규의 엄격한 관리를 받고 있는 만큼, 향후 관련 법규가 더 강화될 경우 제품 생산 및 판매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농가인구 감소 및 고령화 위험

 

 작물보호제 사업의 최종 소비자는 농민으로, 회사의 영업환경 또한 전방산업인 농업 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농업환경은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 및 생활 여건 차이의 심화, 수입 농산물 유입 및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농가 인구, 경지면적의 감소 및 농민의 고령화가 오랜 기간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작물보호제 산업의 시장규모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출처 l 전자공시시스템(DAR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