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분석

뷰노 - 공모 정보, 보호예수 및 기업 전망

by 공부개미84 2021. 3. 4.
반응형

공모 내용 및 보호예수 사항

 

  • 공모 정보
총공모주식수 1,800,000주 액면가 100원
상장공모 신주모집 : 1,800,000주
희망공모가액 15,000원 ~ 19,500원 청약경쟁률 1102.7:1
확정공모가 21,000원 공모금액 37,800(백만 원)
주간사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주식수 : 360,000 ~ 450,000주 / 청약한도 : 9,000 ~ 11,250주

 

  • 보호예수 사항(유통가능 물량) - 총 상장 주식수 : 10,825,069 주

 

구분 주식수(주) 지분율(%) 기간
최대주주 등 3,802,567 35.2% 상장 후 1년
일반투자자 16,362 0.2%
기관투자자(VC) 1,412,541 13.2% 상장 후 1개월
우리사주조합 사전배정분 90,650 0.8% 발행 후 1년
공모분 254,955 2.4% 상장 후 1년
일반법인 녹십자홀딩스 738,000 6.8% 상장 후 6개월
일반법인 334,864 3.0% 상장 후 1개월
상장주선인 54,000 0.4% 상장 후 3개월
합계 6,703,939 61.9%  

 

 

주요 사업

뷰노

 

 뷰노는 자료처리, 호스팅, 포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으로 특히 원천기술이자 자체 딥러닝 엔진 VUNO Net을 기반으로 최적의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을 자체 개발중에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의료 현장의 Unmet Needs를 포괄하는 의료인공지능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의료영상, 병리, 생체신호, 의료음성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뷰노는 의료 빅데이터를 학습한 자체 인공지능 솔루션 VUNO Med 솔루션을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간단위 과금과 유지보수 / 사용량에 따른 과금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 솔루션은 자체 전문 영업조직을 구축하여 종합병원 및 공공의료기관에 직접 판매하거나 의료기기, 의료시스템을 탑재하여 유통 네트워크를 만들어 의료기기 기업이나 대리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VUNO Med Solution

뷰노 솔루션

 

 VUNO Med Solution은 임상현장에서의 효율성을 향상했는데 의사 골연령 판독 시간 최대 40% 단축, 위암 병리 슬라이드 분석 시간이 최대 58%가 감소되는 등의 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뷰노는 X-ray 판독에 미숙련된 영상의학 수련의가 솔루션 사용 후 전문의 이상의 판독 정확도를 달성하여 오진 감소의 효과와 병원 별 진단 편차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Unmet Needs에 대한 새로운 진단법을 제사하여 의료 가치도 창출하였습니다. 맥박, 호흡, 혈압, 체온 등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해 24시간 내 심정지 발생 위험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뇌 MRI 영상 기반 AD 진단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기타 정보

뷰노 IR
뷰노 IR
뷰노 IR

 

 

시장 전망

헬스케어 시장 전망

 

 세계 인공지능 헬스케이 시장은 연평균 45.1%의 고속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임상 현장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적용이 증가하면서 전 세계 정부 수가 지정 및 규제 완화 등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 최초 인공지능 의료기기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고,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강대국들의 지원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뷰노는 이를 바탕으로 우수한 국내 의료 환경을 기반하여 의료 AI 개발의 토양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Solution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S/W의 정기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고, Lock in 효과로 인해 전체 고객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비즈니스 선순환 사이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고객사는 유지되고 있으며 신규 고객사도 빠르게 확대되어 매출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뷰노는 설립 초기 직접 판매 중심으로 매출을 올렸으나, 현재는 판매채널을 다각화하여 직접 판매 및  협력 판매를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레퍼런스 확보 이후 의료기기, S/W 플랫폼, 제약사 등 다양한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통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의료 AI 국내 최초 CE인증을 획득하여 유럽 주요국으로 진출을 확대했으며, 일본 내 인허가를 획득하여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현재 플랫폼, 메디컬 기업과 JV 설립 및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FDA 인허가도 진행 중에 있고,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미국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및 영업이익

성장로드맵

 

 

요약 재무제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