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분석

석경에이티 - 사업내용, 시장전망, 시장 점유율 현황, 투자 요소

by 공부개미84 2020. 12. 19.
반응형

 

 

 


 

 

 

1. 개요

 

 

 

 

 

 

 

대표이사 : 임형섭

 

설립일 : 2001년 1월 1일

 

자본금 : 22.1억 원

 

주요 사업 : 나노소재(Bio 기능성 Filler, Toner 외첨제, 기능성 코팅제)

 

임직원수 : 49명(2020년 11월 기준)

 

사업장 : [국내]

           본사/부설연구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24

           제2공장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자유무역로 194, 표준공장 F동

 

 

           [해외]

           일본 법인(SG Japan, Co., Ltd.) : Sanno Park Tower 3F, 2-11-1 Nagata-cho, Chiyoda-ku, Tokyo, 100-6162, Japan(http://www.sgjapan.co.jp)

           시카고 사무소(Sukgyung AT Inc.) : 2400 E Decon Ave., Suite 283, Des Plaines, IL 60018 USA

 

 

 

 

 

 


 

 

 

 

 

 

2. 사업 내용

 

 

 

 

 

 

 

 석경에이티는 20여 년 전부터, 다양한 사업에 쓰이는 나노소재 기술을 제조를 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바이오헬스케어, 전기/전자, 재료, 통신 네 부분에 집중적으로 역량을 쏟아 왔으며, 새로운 제품을 제조해 왔습니다. 나노기술은 2000년 클린턴 행정부에서 NNI를 주창한 이후,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미국, 일본, 유럽 등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시작해 왔으며, 한국은 4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또한 나노융합 기술에서도 4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석경에이티는 첨단 나노소재의 국산화 및 글로벌 경쟁력을 실현하기 위해 4대 핵심 기반기술을 연마해 왔습니다. 크기 및 입자 형상 제어기술, 분산 기술, 표면처리 기술, 정제 기술 네 가지입니다.

 

 

 

 또한, 고유의 새로운 소재를 창출해내고자 원천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48종의 첨단 분석기기를 회사 내에 보유해서 많은 서비스를 할 수 있게 준비했고, 다양한 사업에 쓰일 수 있는 고기능성 나노소재를 공급해왔습니다. 이 결과, 전 세계의 84개의 안정적인 해외 매출처를 발굴하여 협력을 하고 있고, 이 해외 매출의 비중은 약 70% 정도입니다.

 

 

 나노입자의 사용처로는 바이오헬스 산업군, 전기/전자 산업군, 5G 산업군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이오헬스 산업군의 경우 치과 소재, 항균 소재, 화장품 소재, 의료용 소재에 회사 제품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의 경우, Toner 외첨제 사업, UV & IR 차단 사업, 세라믹 멤브레인 사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5G의 경우 5G/mmWave 기판소재용 중공 Sillica 소재가 차세대 먹거리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시장 전망

 

 

 

 

 

1)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시장

 

 

 

1) Global Composite Filling in Dental Restoration Market Report(2015~2026), 2) Global Zirconia Dental Mater Market Study(2016~2026)   

 

 

 

 

 

글로벌 경쟁력

 

 치과 수복용 필러 소재의 경우 GAGR 4.5%, 임플란트 소재의 경우 GAGR 5.3%가 전망됩니다. 석경에이티는 현재 세계 13개국 40여 개 글로벌 고객사들과 10~16년 이상 안정적인 거래를 해왔으며, 메이저 업체 대비 75%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석경에이티의 소재 활용 고객사 특허 등록 23건, 출원 6건으로 거래선의 신뢰를 구축했습니다.

 

 

 

 

 

 

 

 

 석경에이티는 현재 경쟁사 대비 마켓쉐어가 작습니다. 이는 독일의 기업처럼 오랜 경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 이미 시장에 선도를 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 전기/전자 소재 시장

 

 

 

1) "Future Prospects of the Toner Industry : A Call for Cost Competitiveness to Recreate the Market“ (2017. 10월) Data Supply Inc. 2) “The Global Market for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Nanopowders” 중 ‘SILICON OXIDE NANOPARTICLES’ Future Markets, Inc., (October 2019) (p. 140~150)

 

 

 

 

글로벌 경쟁력

 

 Toner 외첨제, Spherical Silica for Film & Composite의 경우, 각각 GAGR 0.2%, 10.8%가 전망됩니다. 석경에이티는 단분산 구형 실리카로 친환경 SnO2를 런칭하였고, 실리카 생산 수율을 4배 향상하여 70~80%의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였습니다.

 

 

 

 

 

 

 

 

 전기/전자 소재 시장의 경우 'Shin-Etsu Chemical' 약 120년, DENKA는 100년이 넘는 경력을 가진 회사들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석경에이티는 향후 이를 10% 수치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3) 화장품 소재 시장

 

 

 

「고부가가치 보건의료 미래형 신산업 통계 개발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

 

 

 

 

 

글로벌 경쟁력

 

 컬러 안료 소재 시장/자외선 차단용 무기 입자 시장은 각각 GAGR 0.2%/2.6%가 전망됩니다. 컬러 안료 소재는 동일 품질 대비 80% 수준의 가격(글로벌 1위 대비), 자외선 차단 나노소재는 동일 품질 대비 70~75% 수준의 가격(글로벌 1위 대비)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9년 매출 기준

 

 

 

 석경에이티는 자외산 차단 나노 소재를 일본에 수출하고 있고, 컬러 안료 시장에도 이미 기 진입을 하고 있는 상태로, 현재는 마켓쉐어가 작은 상태이지만 점차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4. Investment Highlights

 

 

 

 

 

 

 

1) 제품화 경쟁력

 

 

 

2020년 10월 말 기준

 

2020년 10월 말 기준

 

 

 

 

 4대 핵심 기반 기술을 확립하여 그 플랫폼 기술을 통해 만든 제품들의 특허와, 석경에이티의 소재를 활용한 고객사의 특허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특허들로 고객사는 독보적인 시장 지배권을 가질 수 있고, 석경에이티는 동반 성장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원료 고순도 정제기술

 

 

 

 석경에이티는 지난 20년 간, 고순도 정제기술에 몰두해 왔습니다. 그 결과, 원도 별 매출 대비 원재료 비율이 2011년에는 30.6%였으나, 2020년 현재 15.4%까지 비율을 낮췄습니다. 저가의 원료를 구매하여 고순도화 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했습니다.

 

 

 

 

 

 

3) 글로벌 고객 커스터마이징

 

 

 

 

 

 

 석경에이티는 일찍부터 해외시장으로 진출하여, 시카고 사무소와 일본 법인을 제조했습니다. 각 사무소와 법인에서 고객 마케팅 활동을 진행함으로 고객의 니즈를 얻어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4) 신성장사업

 

 

 

 

 

 

 

 

 석경에이티는 2015년부터 5G 기판소재용 중공 실리카를 개발하였고, 일본에 특허 등록을 2건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2034년까지는 석경에이티 외에 일본에서는 똑같은 재료 제조가 불가능합니다. 이를 무기로 일본 시장 마케팅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Toner 외첨제 소재(SnO2) & 화장품 컬러 안료 소재 사업(HMP)입니다. Toner 외첨제 소재의 경우, 기존 사용되어 왔던 나노 티타니아가 2021년 9월 1일부터 유럽에서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나노소재인 틴 옥사이드의 제조 기술 및 특허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컬러 안료 소재는 기존 제품의 입자 간 응집 현상으로 인해 추가 공정 이슈가 발생되어 왔습니다. 석경에이티는 '나노입자 표면처리기술'로 응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본 A사와 공동개발을 통해 신제품 HMP를 개발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