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물가 관련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by 공부개미84 2021. 5. 27.
반응형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인플레이션, 영어로는 Inflation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한 국가의 재화나 용역 가격 등 우리 주변의 전반적인 물건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상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는 하락하고 소비자 구매력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을 알아보기 위해선 기준연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어떠한 관점에서 인플레이션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계산법이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즉 소비자가 시장에서 느끼는 물가의 변동을 나타낸 수치로 많이 사용합니다.

 

아이스크림

 

 인플레이션을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10년 전에는 500원이었던 아이스크림 가격이, 현재에는 1,000원을 주고 구매해야 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돈의 가치가 떨어져 과거와 같은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금액이 증가하는 것이지요.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문제점

 

 최근,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키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바로 코로나19 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면서 수많은 부양책들이 생겨났기 때문인데요. 대표적으로는 미 연준(연방준비제도)의 양적양화가 있습니다. 양적양화란 중앙은행의 정책 중 하나로,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다다랐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중앙은행이 직접 돈을 풀어 기업의 채권을 사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에는 많은 돈이 풀리게 되고, 이는 곧 주식 시장이나 부동 시장의 폭등을 야기할 수 있고, 화폐 가치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수요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수요 인플레이션이란 수요는 크게 증가하는 것에 비해 공급량을 증가하지 않는 인플레이션을 일컷습니다. 수요 인플레이션은 실물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 혹은 과열된 통화 공급(양적양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쉽게 말해 사고 싶은 사람은 많지만 공급이 이를 못 따라가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 비용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비용 인플레이션이란 제품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면서 가격도 같이 상승하게 되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말합니다.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동차 부품의 값이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의 가격도 함께 상승하는 것이 바로 비용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럼,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어떠한 문제가 있을까요?

 

1. 상품 값이 비싸지게 되면 해외로 수출하기 위해 더 높은 가격으로 수출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곧 수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물건 가격이 비싸지면 상대적으로 수입한 물건을 사용하는 사람이 증가할 수 있고, 무역수지를 적자로 만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내가 직장에서 받는 월급의 값어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월급도 상승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이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받는 돈은 동일한데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소득 격차나 빈부격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내가 원하지 않은 소득 재분배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빚을 받아야 하는 사람은 내가 빌려준 물건(돈)의 가치가 과거보다 하락하기 때문에 손해를 보게되고, 빚을 갚아야 하는 사람은 내가 빌린 물건(돈)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4. 인플레이션의 지속은 저축의 손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된다면 화폐가치가 점점 떨어지기 때문에, 국민들이 은행에 돈을 저축하지 않게 되고, 이는 곧 유동자금을 통해 대출을 해주는 은행이 불안정해져 국가 경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

 

 최근, 미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도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주식 시장의 하락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은행의 예금금리가 15%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 투자 대신에 은행 예금을 선택할 것입니다. 역대급 상승장에서도 손해를 보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개인이 주식 투자로 이익을 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따라서 예금금리가 높을수록 주식시장에 있는 돈은 빠져나가 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