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부가가치세란?

by 공부개미84 2022. 2. 28.
반응형

 매년 1월은 앞으로의 한 해를 계획하는 달입니다. 동시에 사업자들에게는 중요한 세금을 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바로 부가가치세인데요. 우리는 사실 평소에도 세금을 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특히 사업을 처음 시작하려는 예비 창업자분들이라면 부가가치세에 대해 꼭 알아야 합니다. 부가가치세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

 부가가치는 원재료를 가공해 상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새롭게 더해지는 가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집에서 짬뽕을 만드려고 하면 해산물, 밀가루 등의 재료가 필요하겠죠. 이 재료를 이용해 요리사가 짬뽕을 만들면 새로운 가치를 가진 짬뽕이 완성됩니다. 각종 재료들이 짬뽕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새로운 부가가치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렇게 부가가치세는 상품 또는 재화를 거래하고 서비스(용역)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매겨지는 세금을 말합니다. 부가가치세는 물건을 사는 소비자가 내야 하는 세금인데요. 가격의 10%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짬뽕 가격이 만 천 원이라면 소비자가 내는 부가가치세는 천원인 것이죠. 다시 말해 소비자가 구매하는 가격에는 부가가치세가 자동적으로 포함되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부가가치세를 국세청에 납부하는 것이 아닌 판매자(사업자)에게 주는데요. 판매자는 이 돈을 모아두었다가 나중에 국세청에 따로 납부해야 합니다. 얼핏보면 판매자에게는 불편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렇게 부담하는 사람과 납부하는 사람이 다른 세금을 간접세라고 합니다. 부가가치세가 간접세인 이유는 소비자가 물건을 살 때마다 일일이 세금을 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업자가 세금을 맡아두었다가 매년 1월마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며 한꺼번에 납부하는 것이죠. 

 

 그럼 판매자는 소비자가 준 부가가치세를 전부 납부해야 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짬뽕을 만들어 판매한 판매자이기도 하지만 해산물과 밀가루를 구입한 소비자이기도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해산물과 밀가루를 살 때 냈던 부가가치세를 뺀 나머지를 국세청에 납부하게 됩니다. 짬뽕을 팔고 받은 세금을 매출세액, 원재료를 샀을 때 냈던 세금을 매입세액이라고 하는데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빼면 판매자가 내야 하는 부가가치세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상품이 만들어지고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부가가치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부가가치세도 발생합니다. 만약 이 사실을 모르고 물건 판 돈이 모두 내 돈이라고 착각하다가는 큰 곤욕을 치를 수 있겠죠. 그래서 사업자는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을 꼼꼼하게 관리하고 소비자에게 받은 부가가치세는 따로 모아놓아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