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의 소소한 재미 중 하나가 배당금을 받는 것인데요. 우리나라에서는 분기 배당을 하는 종목을 찾기 힘듭니다. 그래서 보통 배당주 투자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월배당이나 분기배당이 많은 미국 주식에 눈을 돌리곤 하죠. 하지만 우리나라도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이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나라에서 분기 배당을 지급해주는 종목들을 소개할까 합니다.
1분기 배당 기준일은 3월 31일입니다. 국내장은 주식 매수 후 3 거래일 후에 내 증권 계좌로 들어오기 때문에 기준일 3일 전인 3월 29일 화요일까지 매수해야 분기배당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통상 배당기준일 다음 날에는 배당락이라고 해서 주가가 떨어지는데요. 분기 배당주의 경우, 3개월 후 다시 배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배당락이 거의 없는 편입니다.
분기 배당주가 좋은 이유는 배당금을 복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개월마다 받는 배당금으로 바로 재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1년에 한 번만 배당을 받는 것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1분기 배당금은 보통 5월 중에 입금됩니다. 이 중 배당 소득세 15.4%는 제외되고 남은 금액이 계좌나 통장에 꽂히게 되죠.
전통적인 분기 배당주로는 삼성전자, 쌍용C&E, 포스코, 효성 ITX가 있고, 작년에 추가된 분기 배당주로는 SK텔레콤, SK하이닉스, 씨젠, 신한지주, SK리츠가 있습니다. 이 기업들의 작년 배당금과 배당 수익률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삼성전자(★)
종목명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삼성전자우 | 21년 | 361원 | 361원 | 361원 | 362원 | 1,445원 |
20년 | 354원 | 354원 | 354원 | 1.933원 | 2,995원 | |
19년 | 354원 | 354원 | 354원 | 355원 | 1,417원 |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에는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는데, 배당주 투자에는 우선주가 유리하니 우선주를 기준으로 보겠습니다. 표는 삼성전자의 3년 간 배당금 내역입니다. 20년도에는 4분기에 특별 배당금이 지급되었고, 19년도와 21년도에는 특별 배당이 없었습니다. 21년도에는 전년보다 배당금을 7원 올려서 지급을 하고 있네요. 때문에 매 분기마다 361원의 배당금이 나오고, 특별 배당금이 없어 1년 동안 1,445원의 배당금이 지급되었습니다.
종목명 | 주가 | 22년 1분기 | 21년 연간 배당금 기준 | ||
예상 배당금 | 수익률 | 배당금 | 수익률 | ||
삼성전자우 | 65,500원 | 361원 | 0.5% | 1,445원 | 2.2% |
삼성전자우는 올해 1분기에도 전년과 같은 361원의 배당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1년 기준 연간 배당 수익률은 2.2%이고 22년 1분기 예상 배당 수익률은 0.5% 내외입니다. 연간 배당 수익률이 4% 이내인 종목들은 배당주로서는 메리트가 없는데요. 삼성전자는 안정적으로 배당을 받을 수 있기도 하고, 향후 주가 상승으로 인한 시세 차익을 노려볼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2. 쌍용C&E(★★★)
종목명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쌍용C&E | 21년 | 110원 | 110원 | 110원 | 110원 | 440원 |
20년 | 110원 | 110원 | 110원 |
110원 | 440원 | |
19년 | 100원 | 100원 | 110원 | 110원 | 420원 |
쌍용C&E는 시멘트를 만드는 회사로 사모펀드가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고배당을 지급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배당금은 2020년 3분기부터 110원씩 고정적으로 지급하고 있죠.
종목명 | 주가 | 22년 1분기 | 21년 연간 배당금 기준 | ||
예상 배당금 | 수익률 | 배당금 | 수익률 | ||
쌍용C&E | 7,820원 | 110원 | 1.4% | 440원 | 5.7% |
때문에 올해 1분기 배당금도 110원으로 예상됩니다. 현 주가 기준 배당 수익률은 1.4% 내외입니다. 작년 연간 배당 수익률은 5.7%로 꽤나 고배당주입니다. 특히 배당 수익률이 높으면서도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것이 큰 장점이 종목입니다. 또 하나 좋은 점은, 쌍용C&E는 배당소득세를 내지 않는데요. 원래 배당으로 얻는 수익은 15.4%의 소득세를 제외해야 하지만, 쌍용C&E는 자본 준기금을 감액하면서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배당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닙니다. 때문에 배당주 중에서는 큰 메리트가 있는 종목입니다.
3. 포스코
종목명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포스코 | 21년 | 3,000원 | 4,000원 | 5,000원 | 5,000원 | 17,000원 |
20년 | 1.500원 | 500원 | 1.500원 | 4,500원 | 8,000원 | |
19년 | 2,000원 | 2,000원 | 2,000원 | 4,000원 | 10,000원 |
포스코는 실적에 따라 배당금이 크게 달라지는 종목입니다. 20년도 배당금은 8,000원, 21년도 배당금은 17,000원으로 2배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하죠.
종목명 | 주가 | 22년 1분기 | 21년 연간 배당금 기준 | ||
예상 배당금 | 수익률 | 배당금 | 수익률 | ||
포스코 | 291,500원 | 3,000원 | 1.0% | 17,000원 | 5.9% |
따라서 포스코의 올해 1분기 배당금을 예상하기는 어려운데요. 그래서 2021년 1분기 배당금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현 주가 기준 1분기 배당 수익율은 1% 내외입니다. 2021년에는 총 배당금 17,000원을 지급하면서 5.9%의 배당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포스코는 매출에 따라 배당금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실적에 주목하면서 투자해야 하는 종목입니다.
4. 효성ITX
종목명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효성ITX | 21년 | 150원 | 150원 | 150원 | 300원 | 750원 |
20년 | 150원 | 150원 | 150원 | 300원 | 750원 | |
19년 | - | - | - | 500원 | 500원 |
효성ITX는 20년도부터 분기 배당을 실시한 종목입니다. 1분기부터 3분기까지는 150원, 4분기에는 300원을 배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간 배당금은 750원입니다.
종목명 | 주가 | 22년 1분기 | 21년 연간 배당금 기준 | ||
예상 배당금 | 수익률 | 배당금 | 수익률 | ||
효성ITX | 16,950원 | 150원 | 0.9% | 750원 | 4.4% |
올해 1분기 배당금 역시 150원으로 예상됩니다. 현 주가 기준 수익률은 0.9%가 되겠죠. 작년 연간 배당금 수익률은 4.4%로 배당 수익률은 크게 좋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나쁘다고도 할 수 없는 무난한 종목입니다. 현재 주가가 꽤나 빠져있는 상태인데요. 만약 여기서 추가적인 하락을 보인다면 배당 수익률은 더 커지기 때문에 주가 하락 시 조금씩 매수해 보는 것도 좋겠네요.
최근 추가된 분기 배당주
종목명 | 21년 | 22년 1분기 예상 배당금 |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합계 | ||
SK텔레콤 | 2,500원 (분할 전) |
2,500원 (분할 전) |
1,660원 | 6,660원 | 830원 | |
신한지주 | 300원 | 260원 | 1,400원 | 1,960원 | 260원 | |
SK하이닉스 | 1,540원 | 1,540원 | 300원 | |||
씨젠 | 400원 | 200원 | 400원 | 1,000원 | 200원 | |
SK리츠 | 53원 | 70원 | 123원 | 60원 |
이번에는 최근에 추가된 분기 배당주 5 종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SK텔레콤은 작년 액면분할 및 인적분할을 진행했습니다. 그래서 작년에는 6,66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는데, 올해는 매 분기마다 830원의 배당금이 예상됩니다.
신한지주도 작년 2분기부터 분기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 은행주들 중 분기 배당하는 종목은 없기 때문에 은행주에서는 투자 메리트가 있는 종목입니다. 하지만 은행주 특성상 정부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1분기 배당금이 없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1분기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작년 3분기 수준인 260원의 배당이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올해부터 분기 배당을 하겠다고 뉴스도 많이 나왔죠. 기본적으로 매 분기마다 300원씩 배당을 지급하고, 실적에 따라 4분기에 특별 배당을 한다고 하는데요. 삼성전자와 동일한 방식입니다.
씨젠은 작년 2분기부터 배당을 지급했습니다. 2분기 400원은 1분기와 2분기 배당을 합산한 것이기 때문에, 1~3분기 200원, 4분기 400원으로 봐야 하고요. 때문에 올해 1분기 배당금도 200원으로 예상됩니다.
SK리츠는 3분기에 53원, 4분기에는 70원을 배당했습니다. 때문에 올해 1분기 배당금은 둘의 사이인 60원 내외로 예상됩니다.
종목명 | 현 주가 | 22년 1분 예상 배당금 |
배당 수익률 |
SK텔레콤 | 56,400원 | 830원 | 1.5% |
신한지주 | 38,200원 | 260원 | 0.7% |
SK하이닉스 | 124,500원 | 300원 | 0.2% |
씨젠 | 52,700원 | 200원 | 0.4% |
SK리츠 | 6,310원 | 60원 | 1,0% |
1분기 예상 배당금을 현재 주가에 적용할 경우의 배당 수익률입니다. SK텔레콤의 1분기 배당 수익률은 1.5%로 현 주가 기준 배당주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종목입니다. 신한지주, 씨젠, 하이닉스의 배당 수익률은 1% 이내로 너무 낮은 느낌이고요. SK리츠가 예상대로 6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배당 수익률은 1% 내외로 무난한 종목입니다.
코람코더원리츠
배당기준일 | 예상 배당금 | 수익률 (공모가 기준) |
5월 31일 | 84원 | 1.7% |
8월 31일 | 60원 | 1.2% |
11월 30일 | 85원 | 1.7% |
2월 28일 | 83원 | 1.7% |
합계 | 312원 | 6.2% |
곧 상장하는 코람코더원리츠도 분기 배당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공모가 5천 원 기준 연간 약 6% 수준의 배당 수익률이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코람코더원리츠의 배당 기준일은 다른 분기 배당주들보다 1개월씩 빠릅니다. 따라서 다른 종목보다 한 달 일찍 배당을 받을 수 있겠죠.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한퓨얼셀 기업 IR 정보, 보호예수 (0) | 2022.06.06 |
---|---|
청담글로벌 IPO IR 내용, 보호예수/유통 물량 (0) | 2022.06.04 |
펀드(fund)란? (0) | 2022.03.04 |
부가가치세란? (0) | 2022.02.28 |
상장폐지, 정리매매, 관리종목 용어 설명 (0) | 2022.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