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주식매매기법] 주가의 지지와 저항을 찾는법

by 공부개미84 2021. 6. 4.
반응형

지지저항

 

 주식시장에서, 초보때 흔히들 접하는 것이 바로 지지와 저항이 아닐까 싶습니다. 보통 주식을 처음 접하게 되면 차트, 캔들, 이평선 등과 함께 지지와 저항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되죠. 위 사진의 1번 부근은 주가의 지지가 되고, 2번 부근은 주가의 저항이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한 번 저항이 형성된 곳을 돌파하게 되면 이후에는 지지가 되고, 반대로 지지가 형성된 곳을 하방으로 뚫으면 그 부근은 저항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초보 분들이 매매기준을 세울 때, '여기까지 내려오면 지지해주겠지?' 혹은 '저항을 돌파했으니까 이후에는 지지해주겠지?' 라는 생각으로 매수 혹은 매도 시점을 결정하곤 합니다. 물론 주식시장을 많이 경험하다 보면 지지를 깼음에도 보란 듯이 올라가는 종목이 있고, 저항을 돌파했음에도 주가가 쭉 하락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죠. 이런 경우는 다음에 따로 다뤄보기로 하고 이번에는 기본적인 지지와 저항 찾는 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 심리적 지지 저항

 

 라운드 피겨(Round Figure)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라운드 피겨는 다른말로 라운드 프라이스(Round Price)라고도 하는데요. 라운드 피겨란 100원, 1,000원, 10,000원 등 마지막이 0으로 끝나는 가격대를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깔끔하게 딱 떨어지는 가격대죠. 크게는 10,000원 단위부터, 세부적으로는 500원, 100원 단위로 지지와 저항이 생겨납니다.

 

 

삼성전자 차트

 

 삼성전자의 차트를 보며 확인해볼까요? 라운드 피겨에 딱 맞게 지지와 저항이 형성되지는 않지만, 이 부근에서 주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죠. 2020년 초 60,000원 근처에서 저항을 받았던 주가는 코로나 이후에도 똑같이 저항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80,000원 부근을 오르락내리락하며 지지를 받고 있죠. 특별하지 않은 이상, 대부분의 종목은 삼성전자처럼 라운드 피겨 근처에서 지지 저항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왜 여기서 지지 저항이 이루어질까요?

 

 

 결국은 사람들의 심리 때문입니다. 투자자들은 깔끔하게 떨어지는 가격대에 매도를 많이 걸어 놓습니다. 예를들어 어떤 종목의 주가가 9,930원이라면, 깔끔하게 10,000원에 매도를 거는 것이죠. 삼성전자도 마찬가지입니다. 80,000원대 벽, 83,000원대 벽 등 천 원 단위의 호가마다 많은 물량이 쌓여 있는 것을 많이들 보셨을 텐데요. 결국 지지와 저항이라는 것은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매수심리와 매도 심리가 모이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심리가 지지와 저항을 만드는 것이죠.

 

 

 

2. 이동평균선(이평선) 지지저항

 

삼성전자 이평선

 

 지지와 저항을 찾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이평선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차트를 보면, 최근 1년 간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이평선 부근에서 반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죠.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 회귀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 근처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평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평균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특정기간 동안 투자자들이 해당 종목의 매수한 '평균 매수가'입니다. 이평선 밑으로 주가가 내려가게 되면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손실을 보게 되기 때문에 이평선을 지키려고 노력하게 되고, 이평선 위로 주가가 올라가게 되면 평균적으로 손실을 보고 있던 투자자들의 본전 매도 심리가 강해져 저항이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외에도 지지와 저항을 찾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에는 쉽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whitebanana_/223294848436

 

2024년 국내 주식 시장 휴장일 및 개장일

2024년 국내 주식 시장 휴장일 1월에는 신정, 1월 1일 월요일이 휴장일입니다. 2월에는 설날, 2월 9일 금요...

blog.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