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바이오노트는 동물용 진단 제품과 바이오 콘텐츠 제품을 연구부터 생산, 판매, 사후관리까지 모든 것은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체외진단 전문 기업입니다. 체외진단이란 혈액, 소변, 조직세포 등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몸 밖에서 신속하게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를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동물 진단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동물도 아프면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백신도 접종하고 주기적인 건강검진도 진행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제품들이 동물용 진단 제품이고 검사 방법이나 종류에 따라 명역진단, 생화학진단 등으로 나뉩니다. 바이오노트는 이번 IPO와 함께 생화학진단, 소변진단, 분자진단 등 동물 진단 제품 포트폴리오를 추가하면서 동물 진단 시장 90% 해당하는 전방산업을 커버하게 되었습니다.
바이오컨텐츠 사업은 인체 체외 진단 시약이나 연구용 시약에 사용되는 원료 및 반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신속 진단 제품을 개발하여 반제품 형태로 SD바이오센서에 공급하기도 했습니다.
펫 시장 & 바이오 시장 전망
글로벌 펫 시장은 1인가구의 증가 및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펫 관련 시장은 2027년 3,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예정이며, 이러한 성장세에 따라 글로벌 펫 케어 및 진단 시장 규모도 연평균 약 9%의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2026년 75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컨텐츠 시장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입니다. 글로벌 IVD 원료 시장은 코로나로 인해 분자진단 및 신속항원검사 분야에서 폭발적인 성장이 있었으며, 맞춤 의학 시장의 확대, 감염병 및 만성 질환의 확산, 조기 진단 및 방역 시스템 확대 등의 요인으로 2023년 243억 달러 규모에서 2028년 34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연구용 시약 및 항체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2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2027년 151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2027년 기준으로 본다면, 바이오노트가 접근 가능한 시장 규모는 항체와 배지/혈청 시장까지 합하여 약 738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업소개
바이오노트는 동물진단 사업부와 바이오 컨텐츠콘텐츠 사업부가 모두 성장하며 압도적인 경영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19~2021년까지 매출액은 연평균 295%, 영업이익은 590% 성장하였습니다. 사업부 별로 매출액을 나눠본다면 동물진단 사업부는 연평균 33%, 바이오 콘텐츠 사업부는 750% 성장하였습니다. 바이오 콘텐츠 사업부 매출의 대부분이 코로나 관련 제품이기 때문에 코로나 앤데믹으로 인한 매출 감소가 우려되지만, WHO 승인 제품군이 에이즈, 말라리아, C형 간염 등의 제품들의 매출 증가와 항원, 항체, 엔자임 원료도 82% 성장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노트는 다양한 항원, 항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민간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코로나, 원숭이폭스 등과 같은 고위험병원체 취급 및 대량 배양이 가능한 BL 3 Lab 시설을 보유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 컨텐츠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계열사인 SD바이오센서는 현장분자진단, 형광면연진단, 전기화학진단, 생화학진단 등 다양한 검사 진단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회사입니다. 양사는 각각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공유하면서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제품 포트폴리오
바이오노트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동물 진단 사업 및 바이오 컨텐츠 사업의 전 분야를 커버할 수 있는 전방위적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오 콘텐츠 사업부는 총 277종 이상의 항원항체 면역진단 원료, 8종의 분자진단 원료, 39종의 반제품 원료를 보유하고 있고, 동물용 진단 사업부는 초기 스크린 검사에 사용되는 신속 진단 키트부터 확진 검사에 사용되는 분자진단 제품까지 모든 진단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보호예수
바이오노트의 총 공모주식수는 1,300만 주입니다. 액면가는 500원이며, 공모가는 희망 밴드 하단보다 훨씬 낮은 9,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총 공모금액은 1,170억 원이 되겠습니다. 보호예수 사항을 살펴보면,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보호예수 기간이 6개월로 상당히 짧은 편에 속합니다. 벤처금융 및 전문투자자도 3개월로 짧은 편이기 때문에 보호예수가 끝난 후 시장에 바로 출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우스 - 숨겨진 로봇 관련주 (0) | 2023.01.13 |
---|---|
SAMG엔터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11 |
티이엠씨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08 |
한주라이트메탈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08 |
게임주, 중국 판호 대거 획득! 넷마블VS조이시티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