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SAMG엔터는 2000년에 설립되어 23년 간 한국에서 가장 많은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회사입니다. 이미 10년 전에 에미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세계적인 제작 능력을 인정받고 있고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캐릭터, 미디어 시장에서 어떤 IP가 가장 돈을 많이 벌었는지 확인해 보면, 마블이나 해리포터와 같은 사람이 직접 찍은 IP보다 포켓몬, 헬로키티 등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매출이 훨씬 높습니다. 캐릭터 IP의 매출이 높은 이유는 장기간 서비스되며 팬덤이 누적되기도 했고, 또 상품화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매출의 상당 부분이 MD사업 매출입니다. 따라서 캐릭터 사업은 장기간 지속적으로 가능합니다. SAMG엔터도 처음에는 컨텐츠 영상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MD사업까지 함께 하는 회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5~6세부터 시작되었던 캐릭터 팬덤이 최근에는 3~4세부터 시작되고 있습니다. 또한, 부모들의 연령대가 어려지면서 가족 단위로 캐릭터 소비를 함께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SAMG엔터처럼 인기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 다양한 사업 확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조 (BM)
SAMG엔터의 BM(비즈니스 모델)이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다양한 IP를 만들고 그 IP를 영상 플랫폼을 통해 배급해서 세계적으로 팬덤을 확산시키고, 그 팬덤을 대상으로 굿즈형 MD 제품들을 만들어서 해외 매출 비중을 올릴 계획입니다. 과거에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많은 리스크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해외 기업들이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 부분 줄어든 상태에서 신규 IP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공격적으로 올해, 내년, 내후년 계속해서 신작을 발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포트폴리오
SAMG엔터의 특징은 다양한 연령과 성별을 세분화하여 각각 연령대에 맞는 IP를 개발하고 그 연령대의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MD제품을 컨텐츠와 동시에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디즈니, 반다이 등 글로벌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략이고 국내에서는 SAMG엔터가 가장 근접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 확장에 용이한 플랫폼 형 IP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캐릭터와는 구조가 조금 다릅니다. 미니특공대는 파워레인저 같은 일본물을 레퍼런스 했지만, 여기에 새로운 동물특공대라는 코믹 요소를 넣어 새로운 작품으로 재해석했고, 캐치티니핑은 마법소녀물이란 장르와 포켓몬 스타일의 요정이라는 콜렉팅 요소를 추가해서 사업성을 강화했습니다. 이렇게 기존에 히트한 장르를 가져와 사업성을 강화하고, 트렌드에 맞춘 형태로 작품을 재해석하는 것이 SAMG엔터의 능력입니다.
미니특공대는 국내에서는 검색량 기준 2위 로봇 IP이고, 중국과 아시아 권에서도 인기가 굉장히 많습니다. 미국의 리서치 기관 NPD 그룹에서 발표한 공식 자료에 따르면, 중국 시장의 Top10 완구 라이센스로 선정이 돼서 건담, 해리포터 등의 글로벌 브랜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습니다. 지금까지 누적 매출 600억을 돌파했을 정도로 히트 IP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캐치티니핑은 검색량 기준으로 국내 키즈 IP 중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5월과 12월에 검색량이 급등하는데 대부분 선물을 사기 위해 네이버에서 검색한 기록입니다. 지금까지 누적 피규어 판매량은 400만 개를 돌파했는데, 4~7세 아동들이 대략 130만 명 정도 된다고 볼 때, 한국의 모든 아이들이 티니핑 피규어를 몇 개씩은 가지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습니다. 또한 유아동 마스크, 뚜레쥬르 케이크, 캐릭터 젤리 등 관련된 제품들이 출시될 때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와 중국 OTT에 영상을 배급했는데 한국 1위, 호주 5위, 미국 9위 등 매우 좋은 성적을 기록 중입니다. 따라서 이 작품은 한국 어린이들만 좋아하는 것이 아닌 전 세계 어린이들이 좋아할 수 있는 매력이 있는 작품이라는 것이 검증되었습니다. 지금은 MD를 국내 중심으로 유통하고 있지만 추후 중국, 일본, 미주유럽으로 확장되면 훨씬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메가 IP입니다.
현재 SAMG엔터의 유튜브 채널 총 구독자 수는 4,000만 명에 달합니다. 작년 12월에 3,000만 명이었는데 1년 내에 1,000만 명 이상 늘었기 때문에 매달 100만 명 이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체 구독자의 96%가 해외라는 점을 볼 때, SAMG엔터의 IP들이 세계적으로 얼마나 인기를 모으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출액 및 영업이익
작년에는 전년 대비 63% 성장한 384억 원의 매출액을 올렸습니다. 2022년 상반기에는 320억 정도 벌며 작년 동일 기준 2.5배 성장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현재 약 10% 정도 나오고 있는데 내년에는 15%, 내후년에는 20%로 공격적으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는 유통구조의 변화 때문입니다. 현재에는 로열티 중심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지만, 앞으로 글로벌 표준 MD를 기반으로 한 '직접 매출'로 전환하고 있어 2022년 11월부터 중국, 일본, 유럽 순으로 매출이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또한, 유통대행 구조의 사업구조를 점차적으로 '자체유통' 구조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기본에는 OEM제조사, SAMG엔터, 유통대행사, 마트재래를 거쳐 유통하고 있기 때문에 마진이 줄어들지만, 소비자 직거래 시 마진이 크게 증가합니다. 2022년에 이미 직유통의 비중을 0%에서 38%로 증가시켰고, 올해에는 이를 80%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단기순이익은 현재 RCPS(전환상장우선주)때문에 평가자산손실이 생겨서 적자 기업처럼 보이지만, 이를 감안하지 않는다면 이미 흑자를 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SAMG엔터는 기술상장 기업이지만 이미 흑자를 내고 있는 이례적인 기업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보호예수
SAMG엔터의 공모주식수는 175만 주, 액면가는 500원입니다. 공모가 희망 밴드는 21,600원~26,700원이었지만, 현재 주식 시장이 비수기이기 때문에 확정공모가는 밴드 하단보다 낮은 17,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보호예수 사항을 살펴보면,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16.15%에 매우 낮은 편이며, 벤처금융 및 SI투자자의 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 투자자들의 보호예수 기간이 각각 1, 2, 3개월로 짧은 편이기 때문에 상장 후 비교적 빠른 시간에 매물이 출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hitebanana_&logNo=223277862986&navType=by
LS머트리얼즈 IR 기업정보, 보호예수
공모 개요 공모 정보 청약 일정 LS머트리얼즈는 무슨 기업일까? LS머트리얼즈는 LS그룹에 속해있는 ...
blog.naver.com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반도체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16 |
---|---|
제우스 - 숨겨진 로봇 관련주 (0) | 2023.01.13 |
바이오노트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10 |
티이엠씨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08 |
한주라이트메탈 IR 요약, 보호예수 (0) | 2023.01.08 |
댓글